히팅케이블의 개요
* 히팅케이블의 기능 및 역할
히팅 케이블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목적물(배관, 탱크)에 전기적 열원을 전도 하여
원하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히팅케이블은 배관 및 탱크로 부터 손실되는 열을 보완하고 필요한 열을 더하여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응축 및 동결을 방지하고 유동성을 유지 시켜주어 원할한 이송을 유지한다.
또한, 노출되어 있는 지면(경사로, 계단)의 결빙이나 동결시 노면에 직접 열을 가하여 해빙 및 동결방지의
역할을 한다.
* 히팅케이블의 특징
히팅 케이블은 유연성이 좋고 접촉면이 좋아서 열전도가 용이하며,
전원부에서 말단부까지 전구간을 통하여 일률적인 발열을 함으로서 원하는 열을 목적물에 고르게 전달한다.
또한, 센서를 사용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 함으로서 열효율을 증가 시키고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여준다.
* 히팅케이블의 장점
히팅케이블은 품질에 따라 반영구적 이며 시공이 용이하고 소음 및 기타 공해와 오염물이 발생 되지 않는다.
또한, 히팅케이블은 스팀이나 기타 열매 사용시보다 시설 및 유지보수 면에서 간결하며 센서와 컨트롤 판넬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된다.
그리고 유체의 성분에 따른 내화학적 열선재질과 저온에서 고온까지 원하는 내열적 제품등 각 목적물에 적용하는 제품을 다양하고 폭넓게 선택하여 사용할수있다.
* 히팅케이블의 종류
히팅 케이블은 크게 Self-Regulating 히팅케이블, Series (PTFE, MI)히팅케이블로 나뉜다.
+ Self-Regulating 히팅케이블
발열체는 플라스틱 레진(Plastic resin)과 탄소(Carbon)를 배합한 반도전성 폴리머(Polymer)에
방사선 등의 조사를 통해 분자구조의 가교 공정(Cross linking)을 거친 물질이다.
이는 두가닥의 도체(Bus wire) 사이에 무수한 병렬 전기 회로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외부의 온도가 낮을 시 탄소 결합 상태가 조밀 해지면서 전류가 증가하여 발열량이 높아지고,
반면에 외부의 온도가 높아지면 발열체 분자구조의 팽창으로 부분적으로 탄소 결합을 끊음 으로써
전류의 흐름이 적어져 발열량이 줄어드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절연을 하기위한 다양한 재질의 소재를 더하여 화학적 성질이나 온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제품군이 있다.
+ Series 히팅케이블
발열체는 다양한 합금 저항체를 가지고 직렬의 고유의 저항 형태를 띄는데
길이에 따른 저항값을 가지고 제작 여부에 따라 원하는 다양한 출력의 적용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종류는 절연체 재질에 따라
실리콘 히팅케이블, PTFE 히팅케이블, MI히팅케이블 등 주로 중온과 고온에서 사용되는 종류로 나뉜다.
특히, MI 케이블의 경우에는 금속의 재질에 따라 1000℃까지 승온을 할 수 있어 보일러 대체 기능을 할수 있다.
* 히팅케이블의 용도
히팅케이블의 사용처는 건축물, 토목, 플랜트, 산업장비 등 열이 필요로 하는 모든곳에 적용된다.
+ 동파방지
건축물의 소방, 용수로 등 배관 및 탱크에 흐르는 액체의 동결방지.
+ 온도유지
배관및 저장탱크등 이송물질의 점도유지 및 결정화 방지.
GAS등 액화방지.
+ 승온 (힛업, 보일러)
반응기의 압력을 올려주는 Heat up 기능.
배관을 이용한 Air Heater 기능.
플레이트 가열을 이용한 장비의 dry기능.
+ 제설,제빙 (스노우멜팅)
경사면 보행로 및 계단.
차량 진출입로, 주차장 램프.
건축물의 거터 및 캐노피의 고드름 방지.
창문틀의 결로방지
+ 바닥난방, 제습기능
주택, 오피스텔등의 온돌난방,
화장실, 배란다등 부분난방.
호텔, 콘도등의 로비의 미끄럼방지.
가축 사육장 및 온실의 실내난방.